뉴스나 라디오에서 정치적인 이야기를 할 때 종종하는 단어 TK와 PK
말의 흐름상 영남지역을 말 하는 것 같은데, 왜 굳이 TK와 PK라는 단어를 사용할까?
하는 의문점이 들었습니다.
아무래도 최근엔 총선(국회의원 선거)이 가까워 지면서 더 자주 듣게 되는 단어입니다.
정리 하자면
TK는 대구 + 경북
PK는 부산 + 경남
이렇게 정리하면 됩니다.

근데 정말 웃기죠?
대구인데 왜 T를 쓰고 부산인데 왜 P를 쓸까요?

보세요. 대구역에 Daegu Station 이라고 쓰여 있잖아요.

부산역도 마찬가지로 Pusan Station 이라고 쓰여 있습니다.
이것은 오래된 맥쿤-라이샤워 (McCune–Reischauer) 표기법에 의해서 쓰여진 것 인데요.
1939년에 언어 학자인 두 사람이 만든 표기법에 의해 Taegu, Pusan으로 쓰여지게 된 것 입니다.
예를들어, hangul, kimchi 등등이 대표적인 예로 볼 수 있겠지요.
지금 생각해 보면 어처구니 없죠.
D가 있는데 왜 굳이 T로 표현을 할까?
G가 있는데 왜 꼭 K를 쓰지?
하지만 반대로 생각해 보면 영어권에 있는 사람들이 우리나라 한글을 들으며
어떻게 표현 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하며 만든 것이니 한편으로 이해가 되기도 한다.
우리도 분명히 영어로 뢰디오(Radio)라고 들리지만 라디오가 표준어이지 않는가..
물론 이는 일본에서 넘어오면서 라디오가 되었다고 보는게 맞는 것 같지만 말이다.
예전에 만들어진 로마 표기법을 따라서 TK와 PK로 아직도 사용하고 있는 것 입니다.
'이건 뭐지?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워크아웃(Workout)란? 법정관리와 차이점? (태영건설) (0) | 2024.01.12 |
---|---|
'캐즘'(chasm) 이라고 들어보셨나요? 캐즘 뜻? (2) | 2023.12.04 |
축구용어 '헤딩(Heading)'이 맞아? '헤더(Header)'가 맞아? 머리받기? (0) | 2023.10.18 |
여우비 햇볕 내리쬐는 날 비가 오는 날 호랑이장가가는날, 여우가시집가는날 (2) | 2023.10.15 |
순대국이 왜 순댓국이 되었을까요? '사이시옷'이라고 들어보셨나요? (7) | 2020.06.18 |
댓글